생성자 주입을 선택해야하는 이유!

스프링 핵심 원리/의존관계 자동 주입 2020. 12. 30. 22:28

과거에는 수정자 주입과 필드 주입을 많이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스프링을 포함한 DI 프레임워크 대부분이 생성자 주입을 권장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불변" 대부분의 의존관계 주입은 한 번 일어나면 애플리케이션 종료 시점까지 의존관계를 변경할 일이 없다. 오히려 대부분의 의존관계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전 까지 변하면 안된다. (불변 해야한다.) 수정자 주입을 사용하면 setXxx 메서드를 public으로 열어두어야한다. 누군가 실수로 변경할 수 도 있고 , 변경하면 안되는 메서드를 열어두는 것은 좋은 설계 방법이 아니다. 생성자 주입은 객체를 생성할 때 딱 1번만 호출되므로 이후에 호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불변하게 설계할 수 있다. "누락" 프레임 워크 없이 순수한 자바코드를 단위 테스트 하는 경우..

Article Thumbnail
Java Virtual Machine ?

기록/JAVA 2020. 12. 29. 12:36

JVM이란? Java코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런타임 환경을 제공하는 엔진이다. Java 바이트 코드(.class) 를 기계 언어(OS에 특화된 언어)로 변환 한다. JRE (Java Runtime Environment) JVM + 라이브러리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포판 JVM과 핵심 라이브러리 및 자바 런타임 환경에서 사용하는 프로퍼티 세팅이나 리소스 파일을 가지고 있다. 개발 관련 도구는 포함하지 않는다. ( JDK에서 제공 ) JDK (Java Development Kit) JRE + 개발에 필요한 툴 소스 코드를 작성할 때 사용 하는 자바 언어는 플랫폼에 독립적 오라클 자바 11부터는 JDK만 제공하며 JRE를 따로 제공하지 않는다. 자바 컴파일러도 JDK에 해..

Article Thumbnail
자동 주입 대상을 옵션으로 처리 하는 방법

스프링 핵심 원리/의존관계 자동 주입 2020. 12. 29. 00:02

주입할 스프링 빈이 없어도 동작해야 할 때가 있다. 그런데 @Autowired만 사용하면 required 옵션의 기본값이 true로 되어 있어서 자동 주입 대상이 없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자동 주입 대상을 옵션으로 처리하는 방법 @Autowired(required=false) : 자동 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수정자 메서드 자체가 호출 안됨 org.springframework.lang.@Nullable : 자동 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null이 입력된다. 스프링 전반적으로 지원된다 Optinal : 자동 주입할 대상이 없으면 Optinal.empty가 입력된다. AutowiredTest public class AutowiredTest { @Test void AutowiredOption(){ Annotation..

Article Thumbnail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스프링 핵심 원리/의존관계 자동 주입 2020. 12. 28. 23:53

의존관계 주입은 크게 4가지 방법이 있다. 생성자 주입 수정자 주입(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서드 주입 생성자 주입 이름 그대로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 관계를 주입 받는 방법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진행했던 방식이 바로 생성자 주입이다. 특징 생성자 호출 시점에 딱 1번만 호출 되는것이 보장 된다. "불변 ,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

Article Thumbnail
중복 등록과 충돌

스프링 핵심 원리/컴포넌트 스캔 2020. 12. 27. 21:18

컴포넌트 스캔에서 같은 빈 이름을 등록하면 어떻게 될까? 자동 빈 등록 vs 자동 빈 등록 수동 빈 등록 vs 자동 빈 등록 자동 빈 등록 vs 자동 빈 등록 컴포넌트 스캔에 의해 자동으로 스프링 빈이 등록되는데 , 그 이름이 같은 경우 스프링은 오류를 발생 시킨다. ConflictingBeanDefinitionException 예외 발생 수동 빈 등록 vs 자동 빈 등록 만약 수동 빈 등록과 자동 빈 등록에서 빈 이름이 충돌 되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 수동 빈 등록이 우선권을 가진다. (수동 빈이 자동 빈을 오버라이딩 해버린다) Overriding bean definition for bean 'memoryMemberRepository' with a different definition: replaci..

필터

스프링 핵심 원리/컴포넌트 스캔 2020. 12. 27. 20:56

includeFilters : 컴포넌트 스캔 대상을 추가로 지정한다. excludeFilters : 컴포넌트 스캔에서 제외할 대상을 지정한다. MyIncludeComponent , MyExcludeComponent (Annotation)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public @interface MyIncludeComponent { }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public @interface MyExcludeComponent { } BeanA , BeanB @MyIncludeComponent p..

탐색 위치와 기본 스캔 대상

스프링 핵심 원리/컴포넌트 스캔 2020. 12. 27. 20:16

탐색할 패키지와 시작 위치 지정 모든 자바 클래스를 다 컴포넌트로 스캔 하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라이브러리 까지 뒤진다). 그래서 꼭 필요한 위치부터 탐색하도록 시작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AutoAppConfig.java @Configuration @ComponentScan( // @Component를 찾아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준다. // 기본 스캔 범위를 정할 수 있다. basePackages = "hello.core.member", // 기존 AppConfig.java는 등록이 되면 안되기 때문에 //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찾을 때 제외할 어노테이션 (@Configuration) excludeFilters = @ComponentScan.Filter(type = FilterType.AN..

Article Thumbnail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시작하기

스프링 핵심 원리/컴포넌트 스캔 2020. 12. 27. 19:46

지금까지 스프링 빈을 등록할 때는 자바 코드의 @Bean 이나 XML의 등을 통해서 설정 정보에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을 나열했다. 스프링 빈이 수십 , 수백개가 되면 일일이 등록하기도 귀찮고, 설정 정보도 커지고 , 누락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그래서 스프링은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이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 의존관계도 자동으로 주입하는 @Autowired라는 기능도 제공한다. AutoAppConfig.java @Configuration @ComponentScan( // @Component를 찾아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준다. // 기존 AppConfig.java는 등록이 되면 안되기 때문에 //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찾을 때 제외할 어노테이션 (@Conf..

Article Thumbnail
@Configuration 과 싱글톤

스프링 핵심 원리/싱글톤 컨테이너 2020. 12. 26. 18:53

AppConfig @Configuration //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다.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 객체 생성을 메소드 처리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새로운 구현체를 주입 하고 싶다면 new 객체를 수정하면 된다.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객체 생성을 메소드 처리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새로운 구현체를 주입..

Article Thumbnail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

스프링 핵심 원리/싱글톤 컨테이너 2020. 12. 26. 17:57

싱글톤 패턴이든 , 스프링 같은 싱글톤 컨테이너를 사용하든 ,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stateful)하게 설계하면 안된다.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해야 한다.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 필드 대신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 지역변수 , 파라미터 , ThreadLocal등을 사용해야 한다.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하면 정말 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StatefulService public class StatefulService { priv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