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Config @Configuration //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다.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 객체 생성을 메소드 처리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새로운 구현체를 주입 하고 싶다면 new 객체를 수정하면 된다.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객체 생성을 메소드 처리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새로운 구현체를 주입..
싱글톤 패턴이든 , 스프링 같은 싱글톤 컨테이너를 사용하든 ,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stateful)하게 설계하면 안된다.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해야 한다.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 필드 대신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 지역변수 , 파라미터 , ThreadLocal등을 사용해야 한다.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하면 정말 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StatefulService public class StatefulService { private ..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1개만 생성)으로 관리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학습한 스프링 빈이 바로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빈이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을 적용하지 않아도 ,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이전에 설명한 컨테이너 생성 과정을 자세히 보자 , 컨테이너는 객체를 하나만 생성해서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싱글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라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이런 기능 덕분에 싱글톤 패턴의 모든 단점을 해결하면서 싱글톤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싱글톤 패턴을 위한 지저분한 코드가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DIP , OCP , 테스트 , private 생성자로 부터 자유롭게 ..
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싱글톤이 많이 쓰일까? 웹 어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러 고객이 동시에 요청을 한다. public class SingletonTest { @Test @DisplayName("스프링 없는 순수한 DI 컨테이너") void pureContainer(){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1. 조회 : 호출할 때 마다 객체를 생성 MemberService memberService1 = appConfig.memberService(); //2. 조회 : 호출할 때 마다 객체를 생성 MemberService memberService2 = appConfig.memberService(); //참조값이 다른 것을 확인 System.out.println("memb..
스프링 핵심 원리/싱글톤 컨테이너 2020. 12. 26. 18:53
AppConfig @Configuration //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다.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 객체 생성을 메소드 처리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새로운 구현체를 주입 하고 싶다면 new 객체를 수정하면 된다.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객체 생성을 메소드 처리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새로운 구현체를 주입..
스프링 핵심 원리/싱글톤 컨테이너 2020. 12. 26. 17:57
싱글톤 패턴이든 , 스프링 같은 싱글톤 컨테이너를 사용하든 ,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stateful)하게 설계하면 안된다.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해야 한다.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 필드 대신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 지역변수 , 파라미터 , ThreadLocal등을 사용해야 한다.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하면 정말 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StatefulService public class StatefulService { private ..
스프링 핵심 원리/싱글톤 컨테이너 2020. 12. 26. 17:23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1개만 생성)으로 관리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학습한 스프링 빈이 바로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빈이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을 적용하지 않아도 ,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이전에 설명한 컨테이너 생성 과정을 자세히 보자 , 컨테이너는 객체를 하나만 생성해서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싱글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라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이런 기능 덕분에 싱글톤 패턴의 모든 단점을 해결하면서 싱글톤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싱글톤 패턴을 위한 지저분한 코드가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 DIP , OCP , 테스트 , private 생성자로 부터 자유롭게 ..
스프링 핵심 원리/싱글톤 컨테이너 2020. 12. 26. 17:11
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싱글톤이 많이 쓰일까? 웹 어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러 고객이 동시에 요청을 한다. public class SingletonTest { @Test @DisplayName("스프링 없는 순수한 DI 컨테이너") void pureContainer(){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1. 조회 : 호출할 때 마다 객체를 생성 MemberService memberService1 = appConfig.memberService(); //2. 조회 : 호출할 때 마다 객체를 생성 MemberService memberService2 = appConfig.memberService(); //참조값이 다른 것을 확인 System.out.println("me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