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스프링 이야기에 왜 객체 지향 이야기가 나오는가?

  • 스프링은 다음 기술로 다형성 + OCP , DIP를 가능하게 지원
    • DI : 의존관계 , 의존성 주입
    • DI 컨테이너 제공
  • 클라이언트 코드의 변경 없이 기능 확장
  • 쉽게 부품을 교체하듯이 개발
  • OCP , DIP원칙을 지키면서 개발을 해보니 , 너무 할일이 많았다. 그래서 프레임워크로 만들어버림
  • 순수하게 자바로 OCP,DIP 원칙들을 지키면서 개발을 해보면, 결국 스프링 프레임 워크를 만들게 된다(더 정확히는 DI컨테이너)

 

정리

  • 모든 설계에 역할구현을 분리하자
  • 이상적으로는 모든 설계에 인터페이스를 부여하자
  • 실무 고민
    • 하지만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면 추상화라는 비용(추상화 , 구체화 구분에 따른) 이 발생한다. 
    • 기능을 확장할 가능성이 없다면 , 구체 클래스를 직접 사용하고 , 향후 꼭 필요할 때 리팩토링 해서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는 것도 방법이다.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인프런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스프링 기본기를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 초급 프레임워크 및 라이브러리 웹 개발 서버 개발 Back-End Spring 객체지향 온

www.inflearn.com